onenote
[OneNote] 원노트 활용법 ― ③ 빠른 실행 도구 모음 활용하기
2016. 9. 3.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프로그램을 사용하다보면 굉장히 편리한 기능 중 하나가 빠른 실행 도구 모음이다. (MS Office 2016 빠른 실행도구 모음)빠른 실행 도구 모음, 용어만 들었을 땐 감이 안 잡히지만 프로그램을 키면 왼쪽 위에 위치한 아이콘이라고 설명하면 많은 사람들이 단박에 이해한다. 파워포인트 같은 경우는 주로 슬라이드쇼 기능을 빠른 실행 도구로 등록해놓으면 편리하고, 엑셀은 병합 기능을 여기다 등록해놓고 Alt + 숫자키를 이용해서 활용하면 굉장히 편하다. 이 편리한 기능은 당연히 원노트에도 지원이 된다. 원노트에서 사용하는 거의 모든 기능뿐만 아니라 심지어 따로 추가하여 사용하는 Add-in 기능까지 이 빠른 실행도구 모음에 등록해서 단축키로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나 같은 경..
[OneNote] 원노트 활용법 ― ② 웹 콘텐츠 가져오기
2016. 8. 20.원노트를 사용하면 웹 콘텐츠를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는 Web Clipper 기능, 에버노트에도 있는 기능인데 둘 다 기능은 똑같다. 1. OneNote WebClipper 인터넷을 하다가 맘에 드는 기사가 있으면 위 사진 네모박스처럼 원노트 확장프로그램을 클릭해주면 된다. 신용카드 관련 뉴스를 읽다가 솔깃한 뉴스 기사를 보고 원노트로 클립! ㅋㅋㅋㅋㅋㅋ 에버노트가 초록이라면, 원노트는 보라. (개인적으로 보라 색감이 더 맘에 든다.ㅋㅋㅋ원노트 덕후 아니랄까봐) 기사 전체 페이지를 클립할 수도 있고, 영역을 지정할 수도 있고, 기사 부분만 클립할 수도 있고, 아니면 그냥 책갈피로만 보관할 수 있다. 선택은 사용자의 몫. 그리고 저장되는 위치도 지정할 수 있는데 개인적으로 @I..
[OneNote] 원노트 활용법 ― ① 캘린더 활용하기
2016. 8. 10.마이크로소프트 소프트웨어답게 원노트를 사용하면 엑셀이나 워드, 파워포인트처럼 다양한 부가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덕분에 무겁기도 하지만 어떻게 보면 이런 점들이 에버노트의 불편한 점을 보완해주는 장점으로 작용한다. 그 중에서 오늘 살펴볼 기능은 Add-in 기능 중 하나인 캘린더 기능이다. 운영체제를 Windows 10을 사용하고 있다면 원노트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지 않더라도 기본적으로 깔려있다. 물론 위와 같이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는 원노트가 아닌 가벼운 기능들만 사용할 수 있는 '기본 앱'으로 깔려 있다. (뭔말인지 모르겠다면 깔려있는 원노트의 상단 메뉴와 위 사진의 메뉴를 비교해보면 무슨 말인지 알 것이다.) 그 외에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다면 별도로 원노트를 깔아야하는데 그럴 경우 위 사진과 ..
[3P바인더/OneNote] 바인더를 원노트에 담다.
2016. 7. 24.3P바인더를 근 4년간 사용하면서 자료가 굉장히 많아졌다. 특히 서브바인더에 '언젠간 보겠지'라는 마음으로 넣어둔 것이 몇 년간 방치되면서 권수가 늘어난다는 뿌듯함에 최초 사용 의도와는 많이 벗어나고 있었다. 서브바인더를 살펴보니 정말 다양한 내용들이 많았다. 자료를 하나둘 정리해보니 다음 4가지와 같은 분류로 보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1. 자주 보는 것.2.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씩 들여다 보는 것3. 어쩌다 한 번 필요하지 않을까? 싶은 것 (막상 필요한 적은 없거니와, 있어도 아주 가끔)4. 추억이 담긴 물건들 (쓰레기도 추억이 깃들면 무섭다.) 1. 자주 보는 것자주 보는 것은 메인 바인더에 담겨져 있다. 자료가 일정량 쌓일 때 한번씩 정리해주면 된다. 2.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씩 들여다 ..
[OneNote] 원노트를 활용한 업무 효율 끌어올리기
2016. 7. 14.지난 달까지는 원노트와 에버노트를 적당히 섞어서 업무에 적용시키던 것이 이제는 완전히 원노트로 넘어왔다. PC는 물론 태블릿도 자주 활용하는 내 입장에서는 노트를 선택하는 기준에 있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우선순위였고, 그 다음은 모바일로 보고 싶을 때 봐야한다는 것이었다. 우선순위에 부합한건 원노트였고, 모바일 대응은 에버노트가 뛰어났다.그 두 가지를 모두 놓치기 싫어서 에버노트와 원노트를 적절하게 사용해볼까도 생각했고, 실제로 그렇게 적용도 시켜봤는데 역시나 두 가지를 병행하면서 만족할만한 '황금 비율'을 찾아내는 건 불편함을 감수하고 한 가지 툴을 사용하는 것보다 어려웠다. 그래서 업무쪽은 원노트에 집중하기로 했다. 업무 정보인만큼 많은 정보를 공개하긴 그렇고(정 보고 싶으시면 오프라..
자주 쓰는 디지털 정리도구
2016. 7. 3.오늘 모임에서 Drive 관련해서 용도를 어떻게 나눠 쓰고 있냐는 질문을 받았다.그래서 각각 어떤 용도에 맞게 쓰는지 설명해드렸는데 집에 와서 그 질문이 생각나서 내가 쓰고 있는 정리 도구들을 한 번 정리해봤다.이 외에도 쓰는 것도 있지만 자주 쓰는 애들은 이렇게 8개. 특히 원드라이브랑 에버노트가 거의 핵심이다. 아마 앞으로 이 카테고리도 이 내용들로 다뤄질 거 같다.
[원노트(OneNote)] 생각보다 효율적인 MS 원노트.
2016. 6. 12.항상 노트는 에버노트지 암. 이러고 있다가 모임에서 요즘 원노트가 괜찮다는 얘기를 듣고 이리저리 찾아봤다.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MS Office를 2007~2010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원노트 또한 그때 이후로 딱히 발전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큰 오산이었다. 물론 MS office 2007 / 2010이 나올 때쯤 원노트는 에버노트에 비해 형편 없었다. 하지만 그 이후 에버노트가 폭발적으로 성장한만큼 원노트도 조용히 뒤를 따라오고 있었다. 원노트는 전자 필기장-섹션-페이지 구조로 되어 있다. 처음에 원노트를 접하면 이 개념이 참 적응이 안됐는데, 원노트가 한 권의 책이라고 생각한다면 전자 필기장이 그 책의 제목이 될 것이고, 섹션은 큰 목차, 페이지는 그 큰 목차 내에 있는 여러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