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노트
원노트 태그를 활용한 독서노트 기록법
2018. 1. 30.책 이름 : 메신저가 되라(Millionaire Messenger, 2012)부제 : 경험과 지식을 나누며 평생 성장하는 법저자 : 브랜든 버처드장르 : 자기 계발독서 날짜 : 2018. 01. 23 ~ 2018. 01. 25 인상 깊은 것, 질문, 깨달은 것, 나중에 할 일, 적용할 것, 하이라이트 등 태그를 활용하여 독서노트에 기록 태그 활용하기 - 독서노트 현재 독서노트에 작성된 태그(인상 깊은 것, 깨달은 것, 적용할 것 등)를 태그 찾기를 통하여 필터링하면 해당 내용만 요약해서 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이 방법을 적용하면 한 권의 독서노트뿐만 아니라 본인이 작성한 모든 독서노트에 대한 필터링도 가능하다. 요약페이지에서 태그 옆 원노트 로고를 클릭하면 원본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태그로 요약된 페이..
[OneNote] 원노트 활용법 ― ⑤ 바탕화면 도킹 활용하기
2016. 10. 8.오늘 다룰 내용은 '원노트 바탕화면 도킹해서 활용하기'입니다. 원노트는 다들 아시다시피 마이크로소프트 프로그램이죠. 덕분에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엑셀, 파워포인트, 워드에도 쉽게 호환이 됩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우리가 학교, 회사, 모임 등 각종 단체 등에서 발표자료를 만들 때 사용하는 파워포인트와 원노트를 연동해주는 기능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10월 1일 바스락 낙엽, 독서 모임에서 발표 자료로 활용했던 '디지털 정리의 기술' PPT입니다. 파워포인트를 키면 사진의 빨간 테두리 박스처럼 'OneNote 연결된 노트'라는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 Office 버전에 따라서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연결된 노트를 클릭하면 어떻게 변할까요? 바로 위 사진처럼, 원노트..
[3P바인더/꿈리스트] 나만의 꿈리스트 만들기
2016. 9. 17.살다보면 이루고 싶은게 참 많습니다.그 이루고 싶은 것들에는 '하고 싶은 것', '되고 싶은 것', '보고 싶은 것' 등 우리의 감각기관만큼이나 다양하지요.바스락 낙엽, 첫 독서모임에서 같이 책 을 읽었습니다. 천리향(블로그)님이 독서모임 발표를 맡아주셨고, 그에 따른 액션으로 및 를 내주셨지요.예전에 꿈 리스트를 작성했을 때도 그랬지만, 매번 작성할 때마다 그 꿈을 이룬 것 마냥 설레입니다. 3P바인더 양식은 꿈 리스트를 나눌 때,, , , , 등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이 양식을 통해서 꿈 리스트를 작성하곤 했는데 2% 아쉬운 느낌이 들어서 이번에는 다른 양식을 도입해보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어떤 방식으로 채울까 고민하다가, 의 저자인 김수영씨의 양식이나 방식들을 거의 그대로(?) 가져오기로..
[OneNote] 원노트 활용법 ― ③ 빠른 실행 도구 모음 활용하기
2016. 9. 3.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프로그램을 사용하다보면 굉장히 편리한 기능 중 하나가 빠른 실행 도구 모음이다. (MS Office 2016 빠른 실행도구 모음)빠른 실행 도구 모음, 용어만 들었을 땐 감이 안 잡히지만 프로그램을 키면 왼쪽 위에 위치한 아이콘이라고 설명하면 많은 사람들이 단박에 이해한다. 파워포인트 같은 경우는 주로 슬라이드쇼 기능을 빠른 실행 도구로 등록해놓으면 편리하고, 엑셀은 병합 기능을 여기다 등록해놓고 Alt + 숫자키를 이용해서 활용하면 굉장히 편하다. 이 편리한 기능은 당연히 원노트에도 지원이 된다. 원노트에서 사용하는 거의 모든 기능뿐만 아니라 심지어 따로 추가하여 사용하는 Add-in 기능까지 이 빠른 실행도구 모음에 등록해서 단축키로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나 같은 경..
[OneNote] 원노트 활용법 ― ② 웹 콘텐츠 가져오기
2016. 8. 20.원노트를 사용하면 웹 콘텐츠를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는 Web Clipper 기능, 에버노트에도 있는 기능인데 둘 다 기능은 똑같다. 1. OneNote WebClipper 인터넷을 하다가 맘에 드는 기사가 있으면 위 사진 네모박스처럼 원노트 확장프로그램을 클릭해주면 된다. 신용카드 관련 뉴스를 읽다가 솔깃한 뉴스 기사를 보고 원노트로 클립! ㅋㅋㅋㅋㅋㅋ 에버노트가 초록이라면, 원노트는 보라. (개인적으로 보라 색감이 더 맘에 든다.ㅋㅋㅋ원노트 덕후 아니랄까봐) 기사 전체 페이지를 클립할 수도 있고, 영역을 지정할 수도 있고, 기사 부분만 클립할 수도 있고, 아니면 그냥 책갈피로만 보관할 수 있다. 선택은 사용자의 몫. 그리고 저장되는 위치도 지정할 수 있는데 개인적으로 @I..
[추억노트] 군대에서 받은 편지, 디지털화시키기
2016. 8. 15.09년 7월에 육군에 입대한 나는 11년 5월까지 군생활을 했다. 1년 10개월 동안 전주에서 군생활을 하면서 편지들을 주고 받았는데, 전역한 이후에 몇년간은 박스에 그냥 보관하다가, 바인더를 적극 활용한 13년부터는 서브바인더로 이관시켰다. 서브바인더로 옮기면 보기도 편하니 좀 보겠구나 싶었는데 역시나 보진 않았다. ㅋㅋㅋㅋㅋ 그렇다고 추억이 담긴 물건이기에 버리진 못하고, 늘 책장 한 켠에 고이 보관되고 있었다. 다른 서브바인더들이 활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없어질 때도 철밥통처럼 늘 그 자리에 있었다. 하지만 미니멀 라이프 또는 디지로그에 눈을 뜬 요즘. 활용하지 않으면 굳이 갖고 있을 필요없다는 생각이 짙어졌다. 물론 그냥 버리진 않고, 최근에 구입한 휴대용 스캐너를 이용해 편지들을 모두 디지털화 ..
[OneNote] 원노트 활용법 ― ① 캘린더 활용하기
2016. 8. 10.마이크로소프트 소프트웨어답게 원노트를 사용하면 엑셀이나 워드, 파워포인트처럼 다양한 부가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덕분에 무겁기도 하지만 어떻게 보면 이런 점들이 에버노트의 불편한 점을 보완해주는 장점으로 작용한다. 그 중에서 오늘 살펴볼 기능은 Add-in 기능 중 하나인 캘린더 기능이다. 운영체제를 Windows 10을 사용하고 있다면 원노트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지 않더라도 기본적으로 깔려있다. 물론 위와 같이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는 원노트가 아닌 가벼운 기능들만 사용할 수 있는 '기본 앱'으로 깔려 있다. (뭔말인지 모르겠다면 깔려있는 원노트의 상단 메뉴와 위 사진의 메뉴를 비교해보면 무슨 말인지 알 것이다.) 그 외에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다면 별도로 원노트를 깔아야하는데 그럴 경우 위 사진과 ..
[3P바인더/OneNote] 바인더를 원노트에 담다.
2016. 7. 24.3P바인더를 근 4년간 사용하면서 자료가 굉장히 많아졌다. 특히 서브바인더에 '언젠간 보겠지'라는 마음으로 넣어둔 것이 몇 년간 방치되면서 권수가 늘어난다는 뿌듯함에 최초 사용 의도와는 많이 벗어나고 있었다. 서브바인더를 살펴보니 정말 다양한 내용들이 많았다. 자료를 하나둘 정리해보니 다음 4가지와 같은 분류로 보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1. 자주 보는 것.2.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씩 들여다 보는 것3. 어쩌다 한 번 필요하지 않을까? 싶은 것 (막상 필요한 적은 없거니와, 있어도 아주 가끔)4. 추억이 담긴 물건들 (쓰레기도 추억이 깃들면 무섭다.) 1. 자주 보는 것자주 보는 것은 메인 바인더에 담겨져 있다. 자료가 일정량 쌓일 때 한번씩 정리해주면 된다. 2.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씩 들여다 ..
[OneNote] 원노트를 활용한 업무 효율 끌어올리기
2016. 7. 14.지난 달까지는 원노트와 에버노트를 적당히 섞어서 업무에 적용시키던 것이 이제는 완전히 원노트로 넘어왔다. PC는 물론 태블릿도 자주 활용하는 내 입장에서는 노트를 선택하는 기준에 있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우선순위였고, 그 다음은 모바일로 보고 싶을 때 봐야한다는 것이었다. 우선순위에 부합한건 원노트였고, 모바일 대응은 에버노트가 뛰어났다.그 두 가지를 모두 놓치기 싫어서 에버노트와 원노트를 적절하게 사용해볼까도 생각했고, 실제로 그렇게 적용도 시켜봤는데 역시나 두 가지를 병행하면서 만족할만한 '황금 비율'을 찾아내는 건 불편함을 감수하고 한 가지 툴을 사용하는 것보다 어려웠다. 그래서 업무쪽은 원노트에 집중하기로 했다. 업무 정보인만큼 많은 정보를 공개하긴 그렇고(정 보고 싶으시면 오프라..
자주 쓰는 디지털 정리도구
2016. 7. 3.오늘 모임에서 Drive 관련해서 용도를 어떻게 나눠 쓰고 있냐는 질문을 받았다.그래서 각각 어떤 용도에 맞게 쓰는지 설명해드렸는데 집에 와서 그 질문이 생각나서 내가 쓰고 있는 정리 도구들을 한 번 정리해봤다.이 외에도 쓰는 것도 있지만 자주 쓰는 애들은 이렇게 8개. 특히 원드라이브랑 에버노트가 거의 핵심이다. 아마 앞으로 이 카테고리도 이 내용들로 다뤄질 거 같다.
[원노트(OneNote)] 원노트로 블로그 포스팅하기
2016. 6. 23.MS Office 365를 구입하고 요즘 원노트와 여러 MS Office 제품군에 푹 빠졌다. 특히 원노트(+워드)를 통해 블로그에 포스팅을 할 수도 있어서 한 번 시도해봤다. 이 글 또한 원노트에서 작성 중이다. 내가 티스토리를 사용 중이니 티스토리 기준으로 설명을 하겠다. [관리]-[글 관리]-[글 설정]-[BlogAPI]로 들어가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뜬다. 여기서 API 사용을 "사용"으로 바꿔주고 위에 있는 API 정보가 필요하다. OneNote 또는 Word에서 상단 메뉴 중 파일을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뜬다. (Word는 조금 다르지만 거의 비슷하다.) 여기서 보내기를 누르면 '블로그로 보내기' 라는 메뉴가 보일 것이다. 이걸 클릭하면 OneNote는 Word로 이동한다. 원노트의 블로그로..
[원노트(OneNote)] 생각보다 효율적인 MS 원노트.
2016. 6. 12.항상 노트는 에버노트지 암. 이러고 있다가 모임에서 요즘 원노트가 괜찮다는 얘기를 듣고 이리저리 찾아봤다.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MS Office를 2007~2010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원노트 또한 그때 이후로 딱히 발전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큰 오산이었다. 물론 MS office 2007 / 2010이 나올 때쯤 원노트는 에버노트에 비해 형편 없었다. 하지만 그 이후 에버노트가 폭발적으로 성장한만큼 원노트도 조용히 뒤를 따라오고 있었다. 원노트는 전자 필기장-섹션-페이지 구조로 되어 있다. 처음에 원노트를 접하면 이 개념이 참 적응이 안됐는데, 원노트가 한 권의 책이라고 생각한다면 전자 필기장이 그 책의 제목이 될 것이고, 섹션은 큰 목차, 페이지는 그 큰 목차 내에 있는 여러 가..